참고 교재:
이것이 우분투 리눅스다(개정판) - YES24
우분투 리눅스를 학습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에서 현장감 넘치는 실무를 경험해보자!우분투 리눅스는 데비안 리눅스를 기초로 그놈(GNOME)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이다. 우분투
www.yes24.com
시스템 종료하는 init 0 명령과 재부팅 명령 init 6 명령을 살펴봤다. init 명령어 뒤에 붙는 숫자를 런레벨(RunLevel)이라
부른다. 런레벨은 다음과 같다.
런레벨 | 영문 모드 | 설명 | 비고 |
0 | Power Off | 종료 모드 | |
1 | Rescue | 시스템 복구 모드 | 단일 사용자 모드 |
2 | Multi-User | 사용하지 않음 | |
3 | Multi-User |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| |
4 | Multi-User | 사용하지 않음 | |
5 | Graphical | 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| |
6 | Reboot |
※일반적으로 런레벨 3번을 Mulit-User 모드로 사용한다. 2번과 4번은 우분투에서 사용하지않지만 호환성을 위해 런레벨 3번과 동일한 것으로 취급한다.
런레벨 모드 확인
cd /lib/systemd/system
ls -l runlevel?.target
시스템 런레벨 확인
ls -l default.target
시스템 기본 런레벨이 5번으로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즉 이 시스템은 처음 부팅할 때 그래픽 환경으로 부팅하도록 설정되어 있다.
런레벨 변경
부팅 시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도록 변경
ln -sf /lib/systemd/system/multi-user.target /lib/systemd/system/default.target
reboot 명령으로 시스템 재부팅 후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.
startx 명령으로 X 윈도를 가동할 수 있다. 결국 런레벨 5번은 런레벨 3번에 X 윈도를 자동으로 가동시켜주는 것 뿐이다.
다시 런레벨 3에서 5번으로 변경 후 재부팅 해보자
ln -sf /lib/systemd/system/graphical.target /lib/systemd/system/default.target
reboot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 에디터 (0) | 2023.07.22 |
---|---|
[Linux] 자동완성과 히스토리 (0) | 2023.07.18 |
[Linux] 시스템 종료와 로그아웃, 가상콘솔 (0) | 2023.07.16 |
[Linux] 윈도우 클라이언트 설치 및 설정 (0) | 2023.07.16 |
[Linux] Client 설치 및 설정 (0) | 2023.07.15 |